Post

레디스 운영 시 고려사항

레디스를 운영 시 고려해야 할 임계점, 메모리 설정, 기타 고려사항

레디스 운영 시 고려사항

1. 임계점


1.1. CPU


레디스는 데이터 저장과 조회에 단일 스레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단일 코어의 성능이 높은 장치에서 더 빠른 성능을 보인다.

Redis 6 (2020.04.30)

  • 명령어를 실행하는 코어 부분은 싱글 스레드를 사용한다.
  • I/O Socket read/write는 멀티 스레드로 동작한다.
    • I/O Socket read/write : 명령을 파싱하는 연산과 결과를 반환하는 연산
  • 즉, 주요 명령은 단일 스레드로 동작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유는 context switching과 lock으로 발생하는 병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Redis: Diving Into Redis 6.0

멀티코어 시스템에서 레디스의 성능을 최대로 끌어내기 위해서 인스턴스를 코어 수 만큼 실행하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의 첫 번째 임계점은 CPU 리소스이다. 만약 각 코어마다 하나의 인스턴스가 점유하게 된다면 운영체제 운용에 필요한 리소스가 부족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다른 레디스 인스턴스의 응답 속도도 동시에 느려지게 된다.

두 번째 임계점은 메모리 대역폭이다. 레디스는 명령어 처리를 위해 메모리에 접근하고, 조회된 데이터는 메모리 대역폭을 사용하여 데이터 버스를 통해서 코어로 전송하게 된다. 즉, 8개의 레디스 인스턴스가 메모리 대역폭을 나누어 사용하므로 병목 현상이 발생한다.


1.2. 메모리 크기


레디스에 저장될 메모리의 크기는 redis.confmaxmemory 값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만약 maxmemory 값을 설정하지 않으면, 레디스는 물리 데이터를 모두 사용하게 된다.

이때 운영체제는 애플리케이션이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물리 메모리보다 더 많은 메모리를 사용하려고 할 때 하드디스크에 가상 메모리 공간을 생성하여 사용하는데, 이 영역을 스왑공간(Swap Space) 이라 부른다.

만약 이 스왑공간이 충분하지 않으면 운영체제는 메모리에서 동작 중인 프로세스를 제거하여 사용 가능한 메모리 영역을 확보하게 된다. 이처럼 동작 중인 프로세스를 죽이는 리눅스의 프로그램을 OOM(Out Of Memory) 킬러 라고 한다.

그러므로 OOM 킬러를 피하려면 충분한 스왑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하지만 스왑공간은 결국 디스크를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메모리를 사용할 때보다 성능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

즉, 응답시간이 중요한 서비스에서는 레디스가 사용할 메모리의 크기를 지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1.3. 네트워크


2개의 샤드를 구성한 예시를 살펴보자.

6개의 노드로 구성된 클러스터 논리 구성도

위의 논리 구성에서는 아무런 문제점이 보이지 않지만, 논리 구성을 실제 하드웨어와 대응시켜 물리 구성을 살펴보자.

6개의 노드로 구성된 클러스터 물리 구성

몇 가지 가정을 사용하여 숫자로 병목 현상을 파악해보자.

  • 네트워크 허브의 속도 : 1Gbps
  • 각 노드의 네트워크 카드의 속도 : 1Gbps 이론상 최대 데이터 전송률은 약 125MB 이며, 실제로는 100MB 내외이다.

각 노드는 초당 2만 번의 읽기 요청을 처리할 수 있으므로 논리 구성에서 이론적으로 처리 가능한 요청은 초당 12만 번(2만 x 6개의 노드)이다. 각 요청이 평균 5KB의 데이터를 요청한다면 120,000 * 5 / 1,024 = 585MB 의 데이터가 전송된다. 이미 네트워크 허브가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를 넘어서고 있으므로 모든 노드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대기하게 되고 6개 노드의 전체 성능을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충분한 네트워크 대역폭을 확보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허브를 10Gbps 장비로 교체하면 문제가 해결될 것인가?

하지만 이또한 복제를 위한 마스터와 슬레이브 간 데이터 전송과 네트워크 단절에 의한 데이터 동기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네트워크 임계점에 다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네트워크를 구성을 한다.

  • 하나의 노드에 두 개의 네트워크 카드를 설치하고 각각의 네트워크 카드를 다른 네트워크 허브에 연결했다.
    • 네트워크 허브1에 연결된 192.168.2.* 대역의 IP는 레디스의 읽기와 쓰기 연산을 위해서 사용
    • 네트워크 허브2에 연결된 192.168.9.* 대역의 IP는 레디스의 관리와 복제를 위해서 사용

이와 같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면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대역폭을 분리하여 네트워크 병목현상을 피할 수 있다.


2. 메모리 설정


레디스를 운영하다보면 남은 메모리가 많은데도 불구하고 fork 함수의 수행이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

레디스에서 _**fork**_ 함수를 왜 호출할까?

레디스는 데이터의 영속성을 위해서 Snapshot 방식과 AOF 방식을 지원한다.

  • Snapshot : 현재 메모리에 있는 내용들을 디스크에 옮기는 방식
  • AOF(Append Only File) : 레디스의 쓰기 연산을 log 파일에 기록한다.

이 두 방식은 메모리의 데이터를 디스크에 옮기는 연산을 할 때 fork 를 호출하여 처리하게 된다.


fork 함수는 부모 프로세스와 동일한 크기의 메모리를 사용하는 프로세스를 생성한다. 이때 부모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만큼의 메모리가 남아있지 않으면 fork 함수가 실패하게 된다.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리눅스의 **/etc/sysctl.conf** 파일에 **vm.overcommit_memory=1** 옵션을 추가하면 된다.

vm.overcommit_memory 설정 값

  • 0 : 기본 설정값, malloc 함수의 요청이 들어오면 요청된 크기만큼의 물리적 메모리가 존재할 때에만 메모리를 할당한다.
  • 1 : 요청으로 입력된 크기의 스왑영역이 존재할 때에만 성공한다.
  • 2 : 사용 중인 메모리 크기가 ‘스왑공간 크기 + vm.overcommit_ratio * 물리 메모리 크기’ 이내일 때 메모리를 할당한다.

이 상태에서 쓰기 연산이 들어오게 되면 부모 프로세스가 운영체제에게 추가적인 메모리 할당을 요청하게 되고, 운영체제는 요청된 메모리를 스왑영역을 할당하게 된다. 즉,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게 되므로 추가적인 응답시간이 필요하게 되어 응답시간이 길어진다.

그렇다면 평균적인 응답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가장 적절한 메모리의 크기는 어떻게 산정해야 할까?

만약 전체 연산 횟수가 100이라면 이 중에서 쓰기 연산의 비율이 50%를 넘는다면 물리 메모리의 60%를 지정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 값을 기준으로 쓰기 비율이 줄어들수록 지정 가능한 메모리의 비율을 늘릴 수 있다.


3. 기타 고려사항


3.1. 스냅샷


레디스의 스냅샷 이벤트가 발생하면 매우 짧은 시간에 매우 많은 디스크 입출력이 발생하는데, 외부 저장장치로 스냅샷 파일을 기록하게 되면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전체적인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만약 외부에 스냅샷 파일을 저장하고 싶다면 로컬 파일 시스템에 먼저 스냅샷을 생성하고 복사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권장한다.


3.2. fork 함수


레디스는 데이터의 영속화를 지원하기 위해 AOF(Append Only File)와 스냅샷을 지원한다. 이 AOF와 스냅샷은 fork 함수와 COW(Copy On Write)를 사용하여 백그라운드 저장 프로세스를 생성한다.

COW(Copy On Write)란?

Linux(Unix)에서는 자식 프로세스(child process)를 생성(fork)하면 같은 메모리 공간을 공유하게 된다. 그런데 부모 프로세스가 데이터를 새로 넣거나, 수정하거나, 지우게 되면 같은 메모리 공간을 공유할 수 없게 된다. 이때 부모 프로세스는 해당 페이지를 복사한 다음 수정한다. 이것을 COW(Copy On Write)라고 한다.

레디스는 단일 스레드로 동작하기 때문에 fork 함수가 완료되기 전에는 다른 명령을 수행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응답시간 확보가 필수라면 샤딩을 고려해야 한다.


3.3. 복제 구성


레디스의 복제를 구성할 때 하나의 마스터에 너무 많은 슬레이브를 구성하지 않도록 한다.

하나의 마스터에 많은 슬레이브를 할당했을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

  1. 데이터 복제를 위한 연산이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연산보다 더 많이 소요되어 응답속도가 느려진다.
  2. 많은 슬레이브 노드들이 마스터 노드에 데이터 복제 요청을 하기 때문에, 마스터 노드는 해당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 리소스 대부분을 사용하게 되어 쓰기 요청이 지연된다.


4. 마치며


레디스 클러스터를 구성할 때는 반드시 메모리와 네트워크 등의 임계점에 대한 측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Reference


Yes24: 이것이 레디스다

Redisgate: Redis Server Configuration & Administration List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